● 2009년 12월 임원회의 보고 
- 일시 및 장소 : 2009. 12. 20, 11:30- , 국립민속박물관 앞 북촌칼국수 
- 참석자 : 송화섭(회장), 심승구(부회장), 김일권(선임 연구이사), 김효경(총무이사), 한종수(정보이사) 총 5명 
1. 2010년 월례발표회 계획 
2010년 상반기 
3월 : 이종서(울산대) 
4월 : 천혜숙(안동대) 
5월 : 김일권(한중연) 전국역사학대회 : 가제 : 민속학과 인접학문과의 학간소통, 
 한중연의 문화와 종교연구소와 공동개최 예정 
6월 : 최종성(서울대) 
2010년 하반기 
9월 : 학회 창립 20주년 기념학술대회로 대체, 국립민속박물관 또는 국립중앙박물관의 협조 요청 
10월 : 김성환(군산대) 
11월 : 나희라(진주산업대) 
12월 : 장경희(한서대) 
2. 역사민속학 총서 발간 
1) 역사민속학의 성격과 방법론과 관련한 책자가 필요하다는 의견 
⑴ 총서 1권은 학회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성격의 글을 모으자는 안 
⑵ 학술대회 개최 이후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자는 안 
2) 지금까지 접수된 저서를 순차적으로 발간하는 것을 계획 
⑴ 2010년 상반기에 총서 발간할 수 있는 필자와 주제 조속히 확정 검토. 
⑵ 전임회장단 중심으로 2010년 상반기에 총서 발간 주도키로 함. 
⑶ 접수된 책들을 주제별로 유형화시키자는 안 
⑷ 2월~5월까지 순차적으로 발간 
3. “창립 20주년 기념사업추진 위원회” 구성과 운영 
1) 총서 출판기념회와 창립 2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공동 개최 여부 
⑴ 동일한 차원에서 개최되는 것이므로 공동개최하는 것으로 논의가 모아짐 
⑵ 학술대회와 출판기념회를 9월중에 동시 개최함 
⑶ 학술대회의 주제가 많을 경우에는 2일에 걸쳐 진행하는 것도 고려. 
2) 학술대회 개최 장소 논의 
⑴ 국립중앙박물관(전 회장 역임한 최광식 관장)에 협조 요청 
⑵ 민속학 주제와 관련해서 국립민속박물관도 협조 요청 
3) 2010년 기념사업과 관련해서 역할과 책임의 분배 
⑴ 전임회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‘총서 출판 추진위원회’ 구성 
① 출판간사를 두어 책임을 맡기자는 안 
② 도서 출간을 위해서는 편집이 가능한 사람으로 추천 요망 
⑵ 현 회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‘학술대회 추진위원회’ 구성 
① 대외간사를 두어 책임을 맡기자는 안 
(3) 전임회장단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하고, 현회장이 실무위원장을 맡으며 
실무위원장과 출판간사와 대외간사가 보좌하는 안. 
4. 학술대회 추진과 관련한 주제 선정 
1) 역사민속학의 회고와 전망 
2) 역사민속학과 지역문화학 : 지역의 역사민속학 실태 
3) 역사민속학과 학제 간 연구 : 역사학, 민속학, 종교학, 국문학 등 
4) 역사민속학의 주제별 연구 : 신앙, 장시, 구비문학, 복식, 건축, 음악 등 
5. 학회 논문집 편집위원회와 편집이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 
1) 현 편집이사가 본인의 의지로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편집이사와 편집운영위원회 구성과 운영 방식에 대한 집중 논의 
2) 편집위원회의 회원 구성에서 현 임원이 배제되어 운영상 효율성이 떨어지고 어려움이 많음. 현 임원이 당연직으로 편집위원을 맡는 것이 효용성의 차원에서 제고되어야 함 
3) 임시총회를 개최해서 정관 개정을 통해 편집위원회의 역할을 제고해 보기로 함 
4) 임시총회는 2010년 1월 동계세미나 시점에 동시 개최하여 논의하기로 함 
5) 현 임원 중 부회장이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여 월례발표회를 마친 후에 약식의 편집위원회를 개최하자는 안에 의견을 모음. 
6. 2010년 동계 세미나 계획 
1) 본 학회와 부안 내소사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“한국의 당산제와 동제문화”(가칭)에 대한 발표주제(안)에 관한 논의, 2010년 1월에 내소사에서 학술세미나를 개최. 
2) 현재 계획하고 있는 발표주제 안은 아래와 같음. 
⑴ 불교경전에 등장하는「당산경」 분석 
⑵ 당산제의 유형과 형태 
⑶ 조선후기 당산제의 전승과 전개 
⑷ 당산제 축문의 분석-종교사상적 측면에서- 
⑸ 당산제와 줄다리기의 관계-내소사를 중심으로- 
7. 회원관리와 회비 사용의 문제 
1) 회원관리 
⑴ 신입회원 확보의 어려움 
⑵ 학회 홈페이지를 비공개로 전환하여 학회 가입을 유도하자는 논의 
 예) 고대사연구회, 상고사학회 등은 학회 자료를 공개하지 않음, 학회 회원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. 
⑶ 정보이사(한종수)가 홈페이지 관리자와 논의해 보기로 함 
2) 회비 사용 
⑴ 월례발표회에서 배포되는 발표문을 제본하는 것은 재정 상 어려움이 논의 
⑵ 2010년부터는 발표자가 30부씩 마련해 오는 것을 원칙으로 함

